전체 글 90

AlChE 전국 경시대회 문제: DBP와 MBP

가소제인 dibutyl phthalate(DBP)는 N-부탄올과 monobutyl phthalate(mbp)를 반응시켜 생산하며 이는 1200만 lb/yr의 잠재시장을 가지고 있다. 반응은 기초속도법칙을 따르며 촉매로는 H2SO4를 사용한다. 반응기에 들어가는 흐름에서 MBP농도는 0.2lbmol/ft^3이고 부탄올의 몰 유량은 5배이다. 100F에서 비반응속도는 1.2ft^3/lbmol hr이다. 이 프로젝트를 1년에 30일 동안 수행할 수 있는 크기가 1000gal인 CSTR과 관련 주변장치들이 있다(24h/day 운전)  a)예측된 시장의 33%를 생산 (즉 400만 lb/yr)하고자 하는 경우에 1000gal 반응기 출구에서의 전화율을 구하여라. 일단 문제상황 요약을 먼저 시도해보자.1. A+B ..

정상상태 비등온 반응기 설계

대부분의 반응은 등온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발열 또는 흡열이 일어나지 않는 반응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관점을 화학반응기의 열효과로 바꿔보도록 하자.  이때 4장에서 논의한 등온 상태에서 설계식은 여기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일단 먼저 예제를 통해 비등온 반응기의 특성을 알아보자.Q: 다음과 같은 액상 비가역 기초반응에서 70%의 전화율을 얻는데 필요한 PFR 반응기의 부피를 계산하여라.이제까지 만났던 문제와 다른 게 없다. 당연히 몰 수지, 속도식, 화학양론을 써야한다.결합시 다음과 같다.이때, 원래라면 등온 반응에서 k는 상수이므로 적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반응은 등온에서 진행되지 않으므로 온도의 영향을 살펴보자.-먼저 액상이므로 부피는 온도에 의해 변하지 않는다.-..

오디오 드빌일기 19(맥락없음 주의 ㅋㅋ)

먼저 귀여운 파이어드래곤 선풍기짤을 주웠다. 근데 얘는 몸에 상시 불붙어 있는데 겨우 30도에 더워도 되는건가?? 산소 공급받는 중인듯 ㅋㅋㅋㅋㅋ   https://www.youtube.com/watch?v=nNLTI44g1NA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내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 뉴진스-슈퍼내추럴에 맞춰서 고신 춤추는 공식영상도 찾았다. 어이없음  이거말고도 예전부터 영상 엄청 올라오더라. 외국인한테 인기 많나보다. 드빌1 유기한 줄 알았더니 열일하고 있었구나..   그리고 드빌 마스코트 즈믄을 드디어 얻었다! 이건 케이센님이 줬는데 왜 줬는지 까먹었다.  아무튼 내가 뭐 도와줘서 답례로 받음 ㅋㅋㅋ 얘는 눈을 감고 있는데, 가끔 눈을 뜬다.  근데 눈을 0.1초정도? 진짜 순간만 떠서..

드빌일기 18 by 오디오 (3달 간 있었던 일들)

아니 어떻게 된게 마지막 드빌일기를 쓴 지 벌써 3달이나 지났다. 후.. 그동안 바쁘게 살았는데 막상 돌아보니 한 건 없다(??) 왜 바쁘면 시간이 빨리 갈까?????? 하지만 그 세월동안 변하지 않은 드래곤빌리지 ㅋㅋㅌㅋㅋ 진짜 하나도 바뀐 거 없고 추가도 없어서 놀랐다. 일단 그동안 있었던 일은..1.암두시아스 복각 24년 8월 12일(월) 00:00 ~ 8월 25일(일) 23:59까지  2.신규드래곤 유르카 추가 오... 뭔가 약간 심해잠수부? 아쿠아리움 청소원 같으면서도 우주여행하는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신기한 친구가 나왔다. 이름은 유르카인데 유루캠인지 윤루카스인지 자꾸 바꿔부름 ㅋㅋㅋ개벚지나무님 취향이라고 한다. 이분은 그냥 두발로 걸어다니면 다 가능하다고 함..  일단 나도 개벚지님한테 현..

화학반응공학 ch4: 등온반응기의 설계 (2)

저번시간 요약: 화학공정의 대부분의 반응은 1차, 2차 비가역 공정이다. 이때 몰수지, 속도법칙, 화학양론을 조합하여 각 반응기에서 1차, 2차 비가역 공정이 일어날 때 부피를 구하는 공식(암기는 중요하지 않음)과 구하는 과정을 학습하였다.이때 사용했던 가정은 등온 등압에서 진행된다는 것이다.등온 등압에서 진행될 경우 농도식에 있던 온도, 압력 텀이 사라지면서 농도는 오직 전화율만의 함수가 된다. 그러나 압력강하가 무시되려면 액상반응이거나, 기상반응이라면 반응이 CSTR혹은 batch에서 일어나는 경우여야 한다. 1. CSTR에서의 기상 반응 (압력강하 무시가능)CSTR의 경우, 내부가 완전 혼합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반응기 내 전체 압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그러나 기체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때 ..

ch6.복합반응(미완)

화학반응기에서 오직 한 가지 원하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은 희귀한 일이다. 주로 복합반응이 일어나며 반응 중의 일부는 원하는 반응이지만 일부는 원하지 않는 반응이다.  (주석: 약 60-80% 정도의 화학 공정에서 복합반응이 일어난다고 추정되는데, 이는 반응 조건, 촉매 선택, 반응물의 다양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산업 반응이 특히 복합반응을 자주 포함하는 이유는 반응 조건의 최적화가 복잡하고, 대규모 반응 환경에서 여러 경로가 동시에 개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야.) 화학공장의 경제적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는 원하는 주 반응과 함께 일어나는 부반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 챕터에서는 복합반응에서 반응기의 선택방법과 일반적 몰 수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목표:1)복합반응의 네..

ch 10: 촉매반응과 촉매반응기 2

촉매반응단계 제 5장에서 본 것과 같이 화학반응 기술자는 반응속도 자료를 분석하여 반응속도식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험자료가 주어지더라도, 불균일 촉매반응의 속도식은 거의 멱수법칙 모델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자료로부터 식을 끌어내기가 상당히 어렵다.  오늘은 촉매 속도자료가 주어졌을 때, 어느 단계가 속도결정단계인지 판단하는 방법론을 배울 것이다.  촉매반응은 보통 7단계로 나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촉매입자의 외부표면으로 반응물 A의 접근 (확산)2.촉매의 구멍으로 A가 들어감 (확산)3.내부에 있는 표면에 A가 흡착 4.촉매 표면에서 반응 A->B 5.표면에서 B가 탈착 6.내부에서 입구로 확산7.입구에서 밖으로 확산.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3 4 5단계가 속도결정단계이다. 촉매..

ch10. 촉매반응과 촉매반응기 (1)

10.1: 촉매촉매는 반응의 속도를 빠르게 해주지만 공정을 변화시키지는 않는 물질이다. 많은 산업 공정에서 촉매의 선택이 공정의 효율성, 경제성, 환경 영향을 크게 좌우하므로 공정의 설계에 있어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촉매는 반응을 빠르게 하기도 하지만, 여러가지 반응이 있을 때 특정 반응의 선택도를 높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효소가 인체내에서 특정 분해반응만 촉진시키는 것이 있다. 촉매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대부분의 화학공정에서는 불균일 촉매가 자주 쓰인다.  10.1.2:촉매의 특성촉매 반응은 유체-고체 계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계면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반응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대부분의 촉매에서 이 구조는 다공성 구조에 의해 제공된다. 촉매는 다섯개로 나눌 수 있는데..

ch7: 반응 메커니즘, 생화학 경로, 생물반응과 생물반응기 (1)

The next best thing to knowing something is knowing where to find it.---------------------------------------------------앞 장에서 보았듯이 화공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반응(약 70%)는 비가역 0차 1차 2차반응이다. 30%는 가역반응이거나, 복잡한 차수를 가진 반응이다. 예를 들어 다음 속도식을 보자.이건 기초반응(0차, 1차, 2차)를 따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속도식이 나오는 걸까? 일단 이 속도식은 실험을 통해 측정된 속도식이다. 이 후 왜 이런 식이 나오는지를 분석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그것은 바로 활성 중간체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다. 활성중간체란 반응 중간에 생기지..

ch5. 속도자료의 수집과 분석

4장에서 우리는 반응기의 설계식과 속도법칙, 화학양론관계를 결합하여 임의의 등온 반응계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배웠다. 그러나 여기에는 가정이 존재하는데, 바로 속도식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한 가지 희망적인 것은 대부분의 화학공정에서 사용하는 반응들은 이미 반응 속도식이 문헌이나 실험을 통해 잘 정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에서 사용하는 공정에서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반응(예: 암모니아 합성, 석유 정제 등)의 속도식이 이미 구해져 있어, 이를 기반으로 공정을 설계한다. 다음이 아니고서야 우리가 이 속도자료를 분석하거나 수집할 일은 적다고 볼 수 있다. 연구소나 R&D 부서: 새로운 촉매나 반응 경로를 연구하는 곳에서는 직접 반응 속도를 측정하고 속도식을 구할 일이 많습니다.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