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3

2.흡착

2.1 개요경계면에 특정한 물질이 축적되는 현상을 흡착(adsorption)이라고 부른다. 고체와 기체가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기체상 평균 농도에 비해 고체 표면에서 기체 성분의 농도가 더 높으면 고체 표면에 기체 성분이 흡착되었다고 말한다. 고체나 액체 표면에 기체 성분이 흡착될 수 있고, 액체 표면에 다른 액체나 기체 성분이 흡착될 수 있으나 불균일 촉매반응에서는 촉매는 고체이고 반응물은 기체나 액체이어서, 이 장에서는 고체 표면에 대한 기체의 흡착을 주로 다룬다. 흡착된 물질이 경계면에서만 농축되지 않고 고체내로 투과 확산되어 계 전체의 농도가 증가되는 경우는 흡착이 아닌 흡수라고 부른다. 흡착과 흡수는 물질이 겉에만 붙는가 아닌가로 구별하지만, 흡착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되거나 경계면이 애매하여 두..

1. 촉매의 기본개념

1.1:촉매의 정의화학반응은 반응물 분자가 충돌과정 중에 들떠서, 화학결합이 끊어지고 다시 붙는 과정을 거쳐 원자의 배열방법이 다른 생성물로 전환되는 일련의 변화를 뜻한다. 반응조건에서 반응물의 에너지가 크고 생성물의 에너지가 적으면 반응물은 생성물로 전환되면서 주위에 에너지를 방출한다. 평형이 이뤄질때까지 반응이 진행되고, 평형상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에 의해 결정되므로, 열역학 자료에서 평형 상태의 조성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반응물의 조성과 평형 조성의 차이로부터 반응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의 진행속도는 반응의 진행경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응기구와 각 단계의 활성화에너지를 알아야 반응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물질과 물질이 충돌하거나 스스로 분해되는..

촉매 소개

우리나라의 화학공업은 1960년대부터 활발하게 되었으나 그 기술은 대부분 선진국에서 도입되었고, 화학공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촉매는 외국에서 계속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촉매 자체의 기술 내용은 전혀 옮겨지지 않았기에 촉매를 사용하는 분들도 단순하게 사용만 하여 왔을 뿐이며 새로운 촉매의 개발은 물론, 촉매의 계랑이나 폐촉매의 재생능력도 부족한 상태에 있었다. 화학공학분야에서 개발도상국의 범주를 벗어나려면 화공에서 핵심이 될 수 있는 촉매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반응공학적 측면보다 촉매화학적인 면을 강조하여 촉매현상의 근원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